본문 바로가기

연봉 1억, 실수령액과 세금 구조 완전 정리

큐!공수 2025. 10. 13.

연봉 1억 실수령액
연봉 1억 실수령액

 

많은 사람들이 ‘연봉 1억’이라는 말을 들으면 인생의 성공처럼 느낍니다. 주위에서 누가 억대 연봉을 받는다고 하면 부러움 섞인 감탄사가 절로 나오죠.

 

하지만 실제로 세금을 제하고 나면,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생각보다 크지 않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연봉 1억 원의 실수령액, 과연 얼마일까요?

 

 

 

연봉 1억, 세전 월급은 얼마일까?

연봉1억 실수령액 계산
연봉1억 실수령액 얼마?

 

연봉 1억 원을 12개월로 나누면 세전 월급은 약 833만 원입니다. 겉으로는 ‘월 800만 원대’라 들리지만, 여기서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소득세 등 각종 공제 항목이 빠집니다.

 

이 공제만 합쳐도 월 150만 원 이상이 빠져나갑니다. 결국 실제 손에 남는 금액은 650만~680만 원 선에 그치죠.

 

 

세부 공제 항목, 얼마나 빠질까?

항목 공제율 납부액(예상)
국민연금 4.5% 약 277,650원
건강보험 3.545% 약 288,320원
고용보험 0.9% 약 73,200원
근로소득세 - 약 986,720원
지방소득세 - 약 98,670원

이 항목들을 모두 더하면 약 1,720,000원 정도가 공제됩니다. 즉, 연봉 1억 원이라도 실수령은 월 657만 원 내외, 연간 약 7,880만 원 수준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8,800만 원 넘으면 세율이 확 바뀐다

연봉1억 세율연봉1억 세율 구간
연봉1억 세율 구간

 

많은 직장인들이 간과하는 부분이 바로 세율 구간입니다. 근로소득세는 누진세 구조이기 때문에 일정 구간을 넘는 순간 세금이 급격히 늘어납니다.

  • 8,800만 원 이하: 24%
  • 8,800만 원 초과: 35~45%

연봉이 1억 원이면 이미 고세율 구간에 들어가는 셈이죠. 이 때문에 연봉이 조금만 올라가도 세금 부담이 훅 늘어난다고 느끼게 됩니다.

 

 

세금 기준은 그대로, 물가만 오른 현실

 

흥미로운 건 이 세율 구조가 2008년 이후 17년째 그대로라는 점입니다. 그 사이 물가와 임금은 오르는데, 세금 기준은 제자리입니다.

 

연봉1억 세금연봉1억 세금 기준
연봉1억 세금 기준

 

결국 자동으로 더 높은 세율 구간에 진입하게 되고, 체감 세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근로소득세의 약 3분의 2를 억대 연봉자들이 부담한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요즘 다 억대 연봉 아니야?”, 실제 통계는 다르다

온라인에서는 “요즘 다 1억 넘는다던데?”라는 말이 흔하지만, 국세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연봉 1억 이상 근로자는 전체의 6.7%에 불과합니다.

연봉 구간 근로자 비율
3,000만 원 이하 45.3%
3,000만~5,000만 원 25.9%
5,000만~1억 원 22.1%
1억 원 이상 6.7%

즉, 10명 중 9명은 억대 연봉이 아닙니다. 
“요즘 다 억대 아니야?”라는 말은 어디까지나 체감일 뿐이죠.

 

 

억대 연봉의 현실, 왜 ‘빠듯하다’는 말이 나올까?

억대-연봉-현실억대-연봉
억대 연봉 현실

 

월급 650만 원 대면 절대 적은 돈이 아닙니다. 하지만 대도시 기준으로 주거비, 교육비, 대출이자를 감안하면 여유롭다고 느끼기 어렵습니다.

 

특히 자녀가 있거나 대출을 갚는 경우, “연봉 1억인데 왜 돈이 안 모이지?”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세금만큼 중요한 건 ‘소득 구조 이해’

억대 연봉 소득 구조억대 연봉 소득
연봉1억 소득 구조

 

연봉이 오를수록 세금 부담도 함께 커집니다. 따라서 단순히 연봉 금액만 볼 게 아니라, 세후 기준으로 내 가용소득이 얼마인지를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절세 방법을 모색하거나, 퇴직연금·IRP 등 세액공제 수단을 활용하면 조금이라도 실수령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연봉1억 상징연봉1억 의미
연봉1억 상징 의미

 

‘연봉 1억’이라는 숫자는 여전히 상징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하지만 실수령액만 놓고 보면 생각보다 여유롭지 않은 현실이죠. 결국 중요한 건 얼마를 버는가 보다, 얼마를 남기는가 아닐까요?


여러분이라면 이 현실적인 세금 구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중국 수출 통제 다시 불붙나?", 희토류 관련주 급등 이유와 전망

오늘 주식 시장을 보는데, 정말 깜짝 놀랐어요. 아침부터 핸드폰 알림이 쏟아지더라고요. “희토류 관련주 상한가 터졌대!”라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렸습니다. 유니온머티리얼은 상한가, 노바

goo-gongsoo.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