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간 계좌이체 증여세 피하는 5가지 팁
우선 안심하셔도 되는 부분부터 말씀드릴게요. 2025년 8월 이후에도 '가족간 계좌이체 = 무조건 증여세'는 아닙니다. 사회 통념상 인정되는 생활비, 교육비, 의료비 등은 여전히 비과세로 간주돼요.
예를 들어, 대학생 자녀에게 학기 초 등록금과 자취방 월세를 보내주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아요. 단, 여기서 중요한 건 ‘패턴’과 ‘용도 증빙’이에요. 단순히 이체 메모에 ‘생활비’라고 적는 것으로는 부족할 수 있어요.
이제는 그 돈이 실제로 어디에 쓰였는지도 증명할 수 있어야 하죠.
8월부터 본격 시행…어떤 경우에 세금 문제가 생길까?
국세청은 8월부터 AI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반복적이고 고액의 가족간 계좌이체를 분석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는 증여로 의심될 수 있어요.
- 미성년 자녀나 무소득 배우자에게 매달 100만 원 이상 송금
- 이체 메모 없이 반복 송금
- 단기간에 1,000만 원 이상 자금이 유입된 후 소비
- 6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송금
- 메모는 ‘등록금’인데 실제로는 저축이나 투자로 사용
이처럼 송금 방식과 자금 사용 흐름이 일관성 없거나 설명이 어려운 경우라면, 가족간 계좌이체도 세금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증여세 기준과 공제 한도는 어떻게 될까?
'가족간 계좌이체'가 증여로 판단될 경우, 일정 금액 이상은 세금이 부과됩니다. 다만 10년 기준 누적 공제 한도가 정해져 있어요.
- 배우자: 6억 원
- 성인 자녀: 5,000만 원
- 미성년 자녀: 2,000만 원
- 부모, 조부모: 5,000만 원
- 형제자매, 사촌 등: 1,000만 원
예를 들어, 성인 자녀에게 7천만 원을 보냈다면, 공제한도 5천만 원을 초과한 2천만 원에 대해 증여세가 적용됩니다. 반대로 자녀가 부모에게 송금하는 경우는 공제한도가 없기 때문에 더 조심해야 해요.
증여세율은 얼마나 될까?
2025년 기준으로 증여세는 누진세율 구조로 되어 있어요. 금액이 많을수록 세율도 높아지죠.
- 1억 원 이하: 10%
- 1억 초과~5억 원 이하: 20%
- 5억 초과~10억 원 이하: 30%
- 10억 초과~30억 원 이하: 40%
- 30억 초과: 50%
예를 들어, 성인 자녀에게 1억 5천만 원을 송금했다면, 5천만 원은 공제받고 나머지 1억 원에 대해 10% 세율이 적용되어 1,000만 원의 증여세가 발생하게 됩니다.
가족간 계좌이체, 안전하게 보내는 5가지 팁
- 이체 메모는 구체적으로
단순히 ‘생활비’ 대신 ‘2025년 8월 대학 등록금’처럼 정확한 내용을 적어요. 이게 나중에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어요. - 지출 증빙자료 확보
실제 사용 내역을 증명할 수 있는 카드 사용 내역, 영수증, 문자 등을 꼭 보관하세요. - 빌려준 돈은 반드시 차용증 작성
무이자 대여는 국세청이 증여로 판단할 수 있어요. 적정 이자(2025년 기준 약 4.6%)와 상환 조건을 명시해야 해요. - 정기적 송금은 피하고, 불규칙한 일시 송금 권장
매달 정해진 금액을 보내는 건 의심을 키울 수 있어요. 꼭 필요한 경우 소액만, 불규칙하게 보내는 것이 안전해요. - 증여세 한도 초과 시 자진 신고
10년 누적 한도를 초과하면 3개월 내에 증여세를 신고해야 해요. 신고하지 않으면 최대 20%의 가산세가 붙을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가족간 계좌이체는 여전히 허용되며, 대부분은 세금과 무관한 일입니다. 하지만 정기적이거나 반복적인 송금, 용도가 불분명한 이체는 AI 감시에 따라 증여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어요.
앞으로는 단순 송금이 아니라, 정확한 메모, 지출 증빙, 금액 관리까지 꼼꼼하게 챙기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2025년 8월 이후에는 특히 '가족간 계좌이체'라는 키워드 자체가 세무상 리스크로 떠오를 수 있으니, 제도 변화에 맞춰 똑똑하게 대응해 보세요!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소상공인 지원금 50만원 신청 방법, 사용처 알아보기
2025년 하반기, 소상공인들을 위한 특별한 지원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바로 소상공인 지원금(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이 그것인데요. 단순한 현금 지급이 아닌, 실제 경영에 필요한 고정비용을
goo-gongsoo.com
'경제 사회 일상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정부24앱 비대면 간편 참여 방법 (0) | 2025.07.29 |
---|---|
공공배달앱과 소비쿠폰 활용 방법 (3) | 2025.07.29 |
배민, 쿠팡이츠, 민생지원금 사용 조건 총정리 (1) | 2025.07.29 |
롯데리아 맥도날드 민생회복지원금 사용 가능 매장 확인 방법 (4) | 2025.07.27 |
미트박스 무한쿠폰 이벤트!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중복 할인 받는 법 (3) | 2025.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