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5일 대한민국 일본 한일전 충격의 3연패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십에서 일본에 0-1로 패한 한국 대표팀이 대회 우승을 놓친 가운데, 홍명보 감독의 책임 언급 부족과 팬 소통 부재가 논란을 키우고 있다.
2025년 7월 15일, 용인미르종합운동장에서 열린 E-1 챔피언십 한일전은 한국 축구 팬들에게 또 하나의 쓰라린 기억을 남겼다. 경기 결과는 0-1. 일본의 선제골 이후 끝내 경기를 뒤집지 못한 한국은 홈 팬들 앞에서 굴욕적인 패배를 받아들여야 했다.
더 큰 논란은 경기 외적인 부분에서 불거졌다. 패배 직후 공식 기자회견에 나선 홍명보 감독이 사과나 반성 대신 선수들을 향한 칭찬을 먼저 내놓으면 서다.
홍 감독은 “선수들은 준비한 대로 충분히 잘해줬다”며 경기력에 대한 자평을 이어갔다. 그러나 실점 장면이나 전략 실패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 없이 결과를 ‘아쉽다’는 말로만 정리한 태도는 팬들의 실망을 키웠다.
특히 일본과의 경기였다는 점, 그리고 최근 이어진 한일전 연패 흐름을 고려하면, 그의 무게 있는 사과와 반성은 필수적이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한국은 이날 경기에서 전반 8분 만에 실점을 허용했고, 이후 공격 전개에서 명확한 해법을 찾지 못했다. 점유율에서는 앞섰지만, 유효 슈팅은 경기 내내 단 한 차례뿐이었다.
후반 종료 직전 이호재의 슛이 일본 골키퍼에게 막히며 유일한 위협 장면으로 남았다. 경기 내용과 수치 모두 패배를 설명하고 있었지만, 홍 감독은 일본의 공격을 “위협적이지 않았다”라고 평가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일본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도 논란의 불씨가 됐다. “양 팀을 놓고 보면 한국이 더 나았다”는 평가에 대해, 국내 팬들 사이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자찬이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일본은 일찍 선제골을 넣은 후 수비 중심의 전략으로 전환했고, 그에 대응한 한국의 전술은 끝내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 실패에 대한 감독의 분석이나 반성은 보이지 않았다.
더욱 뼈아픈 지점은 이 경기가 단순한 친선경기가 아닌, 라이벌 일본과의 공식 국제대회 마지막 경기였다는 점이다. 한일전은 한국 축구 팬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과거 홍명보 감독 역시 선수 시절 “일본에 지면 축구화를 벗겠다”는 강한 각오로 한일전에 임해왔다. 올림픽 대표팀 시절에도 일본전에 대한 각별한 전략을 세웠던 일화는 유명하다.
그런 인물이 A대표팀 감독으로서 한일전 패배 후 보여준 태도가 비교 대상이 된 셈이다.
대회 성격상 유럽파 선수들이 빠졌고, 결과보다 과정에 중점을 두는 전력 점검의 일환이라는 점은 충분히 감안할 수 있다. 그러나 패배 자체보다 중요한 건, 대표팀을 이끄는 감독의 메시지다.
특히 라이벌과의 맞대결에서 승리를 놓쳤다면, 그 아쉬움을 인정하고 팬들과의 신뢰 회복을 위한 언급이 우선돼야 했다. 하지만 이번 한일전에서는 그런 소통이 결정적으로 부재했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경기 당일 용인미르종합운동장에는 약 1만여 명의 관중이 몰렸다. 경기장 밖에서는 태극기를 흔드는 팬들과 붉은 유니폼을 입은 가족 단위 관람객들도 쉽게 눈에 띄었다.
이들은 기대 반 걱정 반으로 경기를 지켜봤지만, 결과와 내용 모두 실망으로 마무리됐다. 경기 종료 후 일부 관중석에서는 야유와 함께, 홍 감독의 전술 운영에 대한 실망을 드러내는 목소리도 들려왔다.
한국 축구대표팀은 다음 달부터 2026년 북중미 월드컵을 대비한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홍명보 감독의 전략적 실험과 팀워크 점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한일전처럼 결과와 태도 모두 아쉬움을 남기는 일이 반복된다면, 대표팀에 대한 신뢰 회복은 더딜 수밖에 없다. 홍명보호가 한일전 패배 이후 어떤 변화된 모습으로 돌아올지, 팬들의 눈은 여전히 엄격하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동아시안컵 EAFF E-1 챔피언십 축구 대표팀 명단, 일정, 중계 총정리
2025년 여름, 축구 팬들을 설레게 하는 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이 한국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대회는 국내파 선수들 위주로 구성된 새로운 동아시안컵 명단이 발표되며 많은 주목
goo-gongso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