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소서(小暑) 뜻과 풍습 완벽 정리 가이드

큐!공수 2025. 7. 6.
반응형

24절기-소서
24절기-소서

 

7월 초가 되면 우리는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24절기 소서(小暑)를 맞이합니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는 뜻을 지닌 절기로, 장마철과 겹쳐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는 시기예요.

 

예부터 농사 일정이나 계절 음식을 준비하는 데 기준이 되었던 중요한 절기랍니다. 오늘은 24절기 소서(小暑)가 가지는 의미와 이 시기 풍습, 그리고 우리 일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아보려고 해요.

 

 

 

여름철 본격 더위의 시작, 24절기 소서(小暑) 뜻과 풍습

소서
소서

 

여름이 한창 무르익는 시기인 7월 초, 우리는 24절기 중 열한 번째 절기인 소서(小暑)를 맞이하게 됩니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는 뜻을 가진 절기로, 장마철과 맞물리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시점이에요.

 

이 시기는 양력 7월 7일이나 8일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105°에 이르는 시점으로 정의됩니다. 농경사회에서는 이 무렵의 계절 변화를 세밀히 관찰하며 농사 일정과 일상생활을 조율하곤 했습니다.

 

 

소서(小暑)의 시기적 특징과 기후

 

소서(小暑)는 하지와 대서 사이에 위치해 있고, 이때부터 본격적인 장마철이 이어지곤 합니다. 장마전선이 한반도에 머물면서 습도가 크게 높아지기 때문에 끈적한 더위와 함께 불쾌지수가 올라가는 시기라고 할 수 있어요.

 

예부터 사람들은 이 절기를 기준 삼아 농사와 식생활의 리듬을 조절해 왔습니다. 특히, 소서는 농촌에서 논두렁을 정리하고 퇴비를 준비하며, 본격적인 김매기 작업이 이루어지던 때였습니다.

 

✅ 김매기 : 논과 밭의 불필요한 풀을 '기음'이라 하고, 이를 뽑아 버리거나 흙에 묻어 없애는 일

 

https://folkency.nfm.go.kr/topic/%EA%B9%80%EB%A7%A4%EA%B8%B0
김매기(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지금은 농업기술이 발달해 예전만큼 손으로 김을 매는 모습은 보기 어렵지만, 소서의 의미는 여전히 계절의 흐름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로 남아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여름 채소와 과일이 풍성해지며, 밀과 보리 등도 수확을 마치고 맛볼 수 있게 돼요.

 

김매기-상하농원
김매기(출처-상하농원)

 

 

소서(小暑) 무렵의 계절 음식과 풍습

 

24절기 소서(小暑)는 계절 음식이 풍성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음력 5월 단오 무렵부터 즐기던 밀가루 음식의 맛이 이때 절정에 이르며, 호박과 같은 여름 채소, 민어 같은 제철 생선이 식탁에 오르게 돼요.

 

콩국수소서-음식-참외수박
소서음식-콩국수-참외-수박

 

민어는 기름이 오를 대로 오른 시기라서 국물 요리나 구이, 찜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특히 애호박을 넣어 끓인 민어고추장국은 단물과 매운맛이 어우러져 여름철 입맛을 돋워주는 별미로 꼽혔습니다.

 

민어민어매운탕
민어-매운탕

 

또한, 소서 무렵에는 여름철의 더위를 슬기롭게 이겨내기 위한 풍습들이 전해져 내려옵니다. 시원한 물놀이, 천렵, 차가운 음식을 즐기는 모습이 바로 그 예죠. 이러한 풍습은 단순한 여름 나기의 방법을 넘어 계절의 변화를 온몸으로 느끼며 살아가던 조상들의 지혜를 보여주는 생활 방식이었습니다.

 

 

소서(小暑)와 현대 생활 속 의미

2016122300001360_w
출처-한국민속대백과사전

 

오늘날에는 기상 기술과 냉방 기구 덕분에 소서(小暑)의 더위를 체감하는 방식이 예전과는 달라졌습니다. 하지만 절기를 따라 계절감을 느끼고, 제철 음식을 즐기며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는 마음가짐은 여전히 소중합니다.

 

또한 소서 시기에는 건강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요, 높은 습도와 기온으로 인해 탈수나 열사병 등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에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 그리고 균형 잡힌 식사가 중요한 이유랍니다.

 

참고로 24절기 소서 즈음에 더위 먹었을때 증상과 대처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위 먹었을때 증상 대처법, 일사병과 열사병 차이

여름철 폭염이 이어지면서 더위 먹었을 때 증상을 호소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단순히 더워서 불편한 정도가 아니라 어지럼증, 메스꺼움, 심할 땐 의식 저하까지 나타날 수 있어 각별한

goo-gongsoo.com

 

마지막으로, 소서는 자연의 흐름과 사람의 생활이 맞닿아 있음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절기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잠시 하늘을 올려다보며, 24절기가 주는 작은 여유를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24절기 하지(夏至): 의미와 전통 풍속 총정리

오늘은 24절기 하지에 대해 깊이 알아보려 합니다. 하지란 언제인지, 어떤 의미가 있으며 조상들은 어떻게 기념했는지까지 자세히 풀어볼게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점, 하지를 맞아 우

goo-gongsoo.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