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대서 의미, 풍속, 과일이 맛있는 이유
한여름 무더위가 절정에 이르는 시기, 바로 24절기 중 하나인 대서(大暑)입니다. 해마다 7월 23일쯤(2025년 7월 22일)이면 태양의 기운이 가장 강해져 숨이 턱 막힐 듯한 날씨가 이어지곤 하지요.
예부터 이때를 ‘염소뿔도 녹는다’고 표현했을 만큼 극심한 더위가 찾아왔습니다. 대서는 단순한 날씨 개념을 넘어, 계절의 흐름과 전통 풍속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24절기 대서(大暑), 가장 뜨거운 여름의 절정
한여름 무더위가 절정에 이르는 시기, 바로 24절기 대서입니다. 태양이 내리쬐는 시간이 길어지고 습도까지 높아지는 이때는, 그야말로 지치기 쉬운 계절의 정점이라 할 수 있어요.
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대서는 소서와 입추 사이에 있으며, 양력으로는 매년 7월 23일(2025년 7월 22일) 전후에 찾아옵니다.
24절기 중 대서는 태양의 황경이 120도에 도달할 때를 기준으로 정해져요. 이 시기는 음력 6월에 해당하며, 여름의 마지막 절기로 자리 잡고 있죠.
천문학적으로 보면 사계절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고대의 지혜가 담긴 절기로, 계절의 흐름과 자연 현상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대서 시기, 얼마나 더운 걸까?
우리나라에서는 이 시기쯤이면 초복 또는 중복과 겹치는 경우가 많아 무더위가 극심합니다.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전해질 정도로, 더위가 지독하기로 유명하지요.
▶ 복날(초복, 중복, 말복) 날짜와 보양식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복날! 2025 초복 중복 말복 날짜 및 보양식 총정리
해마다 여름이 시작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복날. 특히 2025년 복날에는 무더운 날씨가 예고되어 있는 만큼, 건강한 보양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더운 날씨에 기력이 떨어지기 쉬운
goo-gongsoo.com
찜통더위, 불볕더위라는 표현도 이 무렵 자주 쓰입니다. 특히 장마가 길게 이어질 경우 늦은 비가 내려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되기도 해요.
여름의 ‘토용’이란 무엇일까?
이 시기에는 ‘여름의 토용(土用)’이라는 개념도 있어요. 이는 오행설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사계절의 시작점인 ‘사립(四立)’ 전 18일을 ‘토’의 시기로 본 것이에요.
24절기 대서는 여름의 토용에 해당하며, 혹서가 절정을 이루는 시점입니다. 민간에서는 이 시기에 흙과 관련된 일을 삼가라는 속신도 있었을 정도로, 자연의 기운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고려 시대부터 전해진 대서 풍속
고려 시대의 기록을 보면, 대서는 ‘삼후(三候)’라는 기준으로 나뉘어 자연 현상을 기록했습니다. 초후에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가 나오고, 차후에는 흙이 습해지며, 말후에는 비가 자주 온다고 전해져요.
이처럼 24절기 중 대서는 단순히 더운 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와 자연의 흐름까지 담고 있는 풍속입니다.
'
옛사람들은 대서 무렵 계곡이나 산정으로 피서를 갔어요. 술과 음식을 준비해 무더위를 잊고 잠시 자연 속에서 여유를 즐기는 풍습이 있었죠.
이와 같은 전통은 오늘날에도 여름 피서 문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대서가 주는 계절의 메시지를 현대식으로 실천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서 무렵의 농촌 풍경
농촌에서는 대서가 되면 한창 바쁜 시기입니다. 논밭 김매기, 잡초 제거, 퇴비 준비 등 농작물 관리가 집중되는 때이죠.
또한 참외, 수박, 채소 등이 풍성하게 자라는 시기로, 과일 맛이 가장 좋은 시기이기도 합니다. 다만 비가 지나치게 많이 오면 당도가 떨어지고, 가물면 과일의 당도는 오히려 높아진다는 점이 특징이에요.
대서를 통해 계절의 흐름을 읽다
24절기 중 대서는 단순한 날씨 개념을 넘어, 인간과 자연이 함께 살아가는 리듬을 보여주는 시기입니다.
더위 속에서도 농사일은 멈출 수 없고, 피서를 통해 몸을 다스리는 전통은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보여주죠. 대서를 통해 계절을 읽고, 몸과 마음을 조절해 보는 것도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지혜일지 모릅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24절기 소서(小暑) 뜻과 풍습 완벽 정리 가이드
7월 초가 되면 우리는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24절기 소서(小暑)를 맞이합니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는 뜻을 지닌 절기로, 장마철과 겹쳐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는 시기예요.
goo-gongsoo.com
댓글